과정에 수렴하는 결과

Bad beat: (poker) the losing of a hand after being the mathematical favorite to win at the start of a hand

포커에는 bad beat이라는 용어가 있습니다. 상대방을 압도하는 좋은 카드를 가지고 상대를 판에 끌어들였는데 예상치 못한 히든카드에 역전당하는 상황을 표현하는 단어입니다. Bad beat에 당한 플레이어들은 대개 2가지 반응을 보입니다. 불운을 원망하고 상대방의 무모한 플레이에 불처럼 화를 내며 페이스를 잃어버리는 사람과 결과를 묵묵히 받아들이고 다음 핸드를 준비하는 사람입니다. 불처럼 화를 내는 사람은 대부분 경험이 적거나 핸드의 확률을 잘 모르는 초심자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기고 있을 확률이 80프로라는 의미는 20프로의 확률로 상대방에게 질 가능성이 있음을 말합니다. 즉, 올바른 플레이를 하더라도 5번중 1번의 확률로 패배할 수 있습니다. 올바른 의사결정(과정)과 승리(결과)가 항상 일치하지 않는 것이 포커의 세계입니다. 그러나 동일한 수천번의 핸드가 반복된다면 올바른 플레이(과정)는 결국 확률에 수렴하는 결과를 보여줄 것입니다.

투자의 세계에서 우리는 수많은 bad beat 상황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올바른 투자원칙과 일관적 투자의사결정(과정)이 매순간 성공(결과)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투자에는 시장의 광기어린 버블, 매크로 환경의 급격한 변화 등 bad beat을 유발하는 예측불가의 상황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일시적인 bad beat으로 인해 올바른 투자의사결정이 영향을 받아서는 안될 것입니다. 또한 노련한 포커플레이어가 badbeat을 포커의 일부로 받아들이고 다음 핸드를 묵묵히 준비하듯이 좋은 투자자라면 자신의 투자원칙을 냉철히 검토하고 감정을 제어하려는노력이 필요합니다. 실시간으로 수익을 평가받는 현실의 투자환경에서 결과에 연연하지 않고 과정에 집중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그러나 찰리멍거의 말처럼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일이라면 그 일은 그리 가치있는 행위는 아닐 것입니다. 저희는 항상 겸손하고 두려운 마음으로 우리의 과정을 의심하고 다듬으며 진보해 나가고자 노력하도록 하겠습니다.

‘I don’t think anything that any average person can do easily is likely to be worthwhile’- Charlie Munger, Vice chairman of Berkshire Hathaway